‘18년 주기’ 경기 사이클 이론: 배경과 학문적 근거
18년 주기 경기 사이클 이론은 경제호황과 불황이 약 18년 간격으로 반복된다는 가설입니다. 이 개념은 1930년대 미국 경제학자 호머 호이트(Homer Hoyt)가 시카고 부동산 시장 연구에서 최초로 관찰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지대이론(토지 가치의 경제적 영향)으로 유명한 헨리 조지의 사상을 계승한 학자들이 이 사이클을 체계화했습니다. 핵심 배경은 토지와 부동산 시장의 주기적 버블에 있습니다. 토지는 공급이 고정된 자산이므로 경제 성장의 과실이 토지가격 상승으로 집중되고, 여기에 저금리 신용팽창까지 더해지면 투기적 버블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버블 기간 동안 토지가치 상승 → 건설경기 활황 → 신용 확대의 선순환이 일어나지만, 결국 임대료와 부동산 가격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올라 실물경제 부담이 극대화됩니다.. 그러면 신규 투자가 중단되고,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며, 금융권 부실과 신용경색을 초래해 결국 불황으로 전환되는 악순환이 나타난다는 설명입니다..
이 이론의 학문적 근거로 자주 언급되는 사례는 프레드 폴드베리(Fred Foldvary) 교수의 연구입니다. 폴드베리 교수는 1997년 미국 경제사회학회지 기고를 통해 18년 주기의 존재를 강조하며 “1990년 미국 경기후퇴 18년 후인 2008년 무렵에 다음 대불황이 올 것”이라고 예측했고 실제로 적중시켰습니다... 폴드베리는 이를 “미국 경제의 경기주기는 약 18년 주기를 보여왔다”는 역사적 분석과 함께, 사이클의 근본 원인을 **정부의 토지가치 보조(부동산에 대한 과도한 혜택)**에서 찾았습니다.. 그는 “토지에 대한 보조로 부동산 가격이 왜곡되고 과열되며, 이로 인해 주기가 반복된다”고 보았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1800년대 이래 주요 불황마다 그 직전 부동산 가격이 정점에 달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이러한 역사적 패턴이 이론의 근거로 제시됩니다. 다만 주류 경제학에서는 명확한 주기 예측에 회의적이어서, 이러한 연구자들은 **“비主류적 예언가”**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18년 주기설 지지자들은 2차 대전 후 미국과 영국에서 18년 주기가 거의 어김없이 반복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실제 18년 주기의 전형적 구조는 **약 14년간의 확장(회복→호황)과 3~4년간의 수축(침체→불황)**으로 이루어지며, mid-cycle이라 불리는 중간 조정국면이 한 번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주기 이론가들의 주장: 아킬 파텔 등을 중심으로
이러한 사이클 이론을 현시대에 적극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아킬 파텔(Akhil Patel)**입니다. 파텔은 투자자문 그룹인 Property Sharemarket Economics의 이사로서, 부동산 주기가 경제 전체를 이끄는 핵심 동인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는 2010년대 중반부터 각종 매체를 통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시작된 새로운 사이클이 18년 주기로 진행되고 있다”는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파텔에 따르면 2008년 대침체 후 시작된 확장국면은 약 14년에 걸쳐 진행되어왔고, 중간조정인 2019~2020년의 일시 침체(코로나19 경기후퇴 포함)를 거쳐 이제 최종 호황 국면에 진입했다고 합니다... 그는 “2020년대 중반까지 전세계적인 거대 붐(boom)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사이클의 정점은 2026년 경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이러한 주장은 파텔이 2021년에 작성한 분석 보고서에서도 확인되는데, 그는 “현재 중간 침체국면을 딛고 마지막 수년간의 상승장에 들어섰으며, 2026년경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명시했습니다..
파텔을 비롯한 주기 이론가들의 공통된 주장은 **“부동산(토지) 사이클이 경기변동의 원동력”**이라는 점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투자와 소비가 활황을 띠고, 이는 다시 토지수요를 자극해 투기적 과열을 초래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은 부동산을 담보로 적극 대출을 늘리기 때문에 금융체계도 부동산 사이클과 맞물려 움직입니다.. 결국 사이클의 말기에 가면 토지 가격이 임대료 등 실물경제 펀더멘털에서 크게乖離하게 되고, 더 이상 수요가 지속되지 못해 붕괴가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파텔은 “경제학자들이 토지라는 생산요소의 특수성을 간과하기 때문에 주기를 놓친다”고 지적합니다.. 실제 토지는 공급이 고정되어 수요 증가시 가격이 제한 없이 뛰는 특성이 있고, 정부나 중앙은행의 정책(저금리, 세제혜택 등)이 이런 토지투기 열풍을 증폭시키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것이 주기 이론가들의 견해입니다...
아킬 파텔 외에도 프레드 해리슨(Fred Harrison), 필 앤더슨(Phil Anderson), 프레드 폴드베리(Fred Foldvary) 등이 주기론을 뒷받침하는 대표 인물입니다. 영국의 경제분석가인 프레드 해리슨은 1980년대부터 부동산 사이클 연구를 통해 **“1990년경 부동산 경기후퇴”**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각각 10여 년 전에 예측한 바 있습니다.. 실제 해리슨은 1997년 저서에서 *“2007년경 토지가치가 18년만에 정점에 달하며 그 직후 2010년 글로벌 불황을 예고한다”*고 기술했고, 이는 2008년 위기의 현실과 상당 부분 부합했습니다.. 미국의 폴드베리 교수 역시 같은 해(1997년) *“2008년 대침체”*를 경고했고, 2020년대 중반의 다음 위기도 예견해 두었습니다.. 호주의 투자 전문가 필 앤더슨은 저서 「부동산과 은행업의 비밀 역사」 등을 통해 미국·영국의 장기 부동산 사이클을 상세히 분석하며 18년 주기설의 사례들을 역사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이렇듯 주기 이론가들은 과거 예측 성공 사례를 근거로 사이클 이론의 신뢰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기 이론가들의 공통된 주장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 “2008년 이후 새로운 사이클이 진행 중이며, 2026년께 정점과 함께 큰 위기가 온다.”
- 사이클 진행 요인은 저금리로 인한 부채축적과 토지투기 붐, 그리고 이에 따른 자산시장 버블이다...
- 사이클은 중간조정을 거쳐 진행되며, 2020년 코로나 위기는 오히려 엄청난 유동성 공급으로 부동산·자산 가격을 더욱 끌어올려 최종 과열을 촉진했다고 해석한다.
- 정부나 중앙은행이 토지나 신용에 대한 구조적 개입(예: 토지세 도입, 과도한 통화완화 중단)을 하지 않는 한, 역사적 주기는 반복된다고 본다...
과거 경제 위기 사례와 주기설의 부합성
역사적으로 18년 주기설은 몇 차례의 주요 경제 위기 시점과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인용됩니다. 가장 직접적인 예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위기입니다. 1990년 미국은 저축대부조합(S&L) 사태와 부동산 침체로 경기후퇴를 겪었고, 정확히 18년 뒤인 2008년 전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했습니다. 주기 이론가들은 1990년 위기와 2008년 위기의 간격이 18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 주기가 우연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실제 프레드 해리슨은 1990년대 초 영국의 부동산 버블 붕괴를 18년 주기의 결과로 해석했고,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도 동일 선상에서 예견했습니다.. 해리슨은 1991년 불황을 무려 8년 전에, 2008년 위기를 11년 전에 각각 예상하여 기록으로 남겼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현실과 일치했습니다..
18년 주기설을 뒷받침하는 과거 사례는 더 거슬러 올라가기도 합니다. 1973~1974년 오일쇼크 불황이 대표적입니다. 1950년대 중반 이후 선진국 부동산 경기가 장기 상승하다가 1973년경 세계적 인플레이션과 자산버블 정점에 이르렀고, 결국 1973-74년에 심각한 불황과 주식시장 붕괴가 발생했습니다.. 이 시점은 앞선 주기인 1954년경의 조정 이후 약 19년만의 대침체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공황 전후의 장기 파동도 인용됩니다. 미국에서는 1920년대 플로리다 토지투기 붐과 주식시장 광풍이 1929년 대폭락으로 끝났고, 1930년대 대공황을 초래했습니다... 그리고 18년 정도 지난 **1950년대 중반(1954년)**에 또 한 차례 침체가 있었다는 점을 들어, 1930년대50년대70년대90년대2000년대에 이르는 순환 주기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물론 정확히 18.0년의 간격으로 떨어진 것은 아니지만, 주기설 지지자들은 **“대략 16~20년 주기로 주요 위기가 반복돼 왔다”**는 정성적 일관성을 강조합니다..
다만 모든 위기가 이 주기에 들어맞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는 미국이나 유럽의 부동산 사이클과는 별개로 발생한 지역적 위기였습니다. 한국은 1997년에 외환위기를 겪어 **GDP 성장률이 -5.1%**로 급락했고, 이는 1990년 미국·일본 침체(혹은 1989년 일본 버블 붕괴) 이후 7~8년만의 일이었습니다. 주기설 관점에서 보면 1997년 위기는 서구의 18년 주기와 일치하지 않지만, 지지자들은 “글로벌 사이클은 선도국(미국 등) 기준으로 봐야 하며, 지역 위기는 별도의 요인(취약한 금융시스템 등)에 기인한 경우”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 위기 당시 한국도 큰 충격을 받았지만, 이는 미국발 부동산/금융위기의 전이 효과였지 한국 내부 사이클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세계 기축통화국이자 거대 소비시장인 미국의 사이클이 글로벌 경제위기의 타이밍을 결정짓는 경향이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개별국 위기는 그 파급 또는 별도의 특수요인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최근 수십년 간 1974 – 1990 – 2008로 이어지는 큰 불황의 흐름이 사실상 약 17~18년 간격을 보였다는 점은 주기설을 뒷받침하는 유력한 근거로 인용됩니다..
한편, 50~60년 주기의 콘드라티예프 파동(장기파동 이론)도 2020년대 위기설과 연결지어 거론됩니다. 러시아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가 제시한 이 이론에 따르면,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경제는 기술혁신과 구조적 변화에 따른 장기 호황과 장기 침체의 파동을 반복해왔습니다각 파동은 봄(도약) – 여름(과열) – 가을(침체) – 겨울(불황)의 4계절에 비유되며, 길게는 50년 이상 지속됩니다. 일부 경제역사가들은 5번째 콘드라티예프 사이클(정보통신 기술 주도)이 1970년대~2010년대를 거쳐 2020년대에 겨울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합니다... 이 “콘드라티예프의 겨울” 시기에 디플레이션 압력, 금융위기, 구조조정이 집중되며, 이후 새로운 기술혁명이 이끄는 6번째 사이클이 개화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실제로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 팬데믹 위기를 거치며, 장기파동의 하강 국면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2020년대 중반까지 세계 경제가 큰 진통을 겪은 후, **2030년대에 새로운 장기호황(제6의 물결)**이 시작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가능합니다..... 요컨대, 콘드라티예프 파동 이론 역시 “2020년대의 구조적 위기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18년 주기설과는 다른 근거이지만 궁극적으로 시기적으로는 2020년대 중반의 어려움을 예견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결점으로 거론됩니다.
2026년 위기 가능성: 주요 지표와 경고 신호
2026년을 전후한 경제위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 여러 지표와 분석들이 경고음을 내고 있습니다. 우선 18년 주기설 관점에서 보면, 2008년 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자산시장은 장기 상승을 거쳐 2020년대 중반 과열 국면에 근접한 모습입니다. 실제 팬데믹 이후의 유례없는 통화완화와 재정부양 속에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주택가격과 토지가치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농지 가격은 2024년 한 해에만 5% 올라 에이커당 평균 $4,170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캘리포니아의 주거용 토지가치는 2020년 1월 대비 2025년 2월까지 82% 폭등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 주택 **가격대비소득 비율(PIR)**은 전국 평균 4.7배로 과거 최고치에 이르렀고, 특히 하와이(9.1배)나 캘리포니아(8.4배) 등은 소득 대비 집값 수준이 극단적 불균형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 중위주택 가격은 중위소득의 5.6배에 달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는데, 2019년에 4.1배였던 것에 비하면 단기간에 주택구매력 지표가 크게 악화된 것입니다.. 이러한 주택시장 과열과 주거비 부담 증대는 통상 큰 조정 전에 나타나는 전형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금융 및 신용 측면에서도 우려스러운 징후가 포착됩니다. 20222023년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한때 진정되었던 신용팽창 추세가, 2024년 들어 일부 선진국의 금리인하 움직임과 함께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미 연준(Fed)은 인플레이션 둔화를 이유로 2024년에 정책금리를 약 1%p 인하했으며, 시장에서는 2025년 추가 금리인하 기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사이클 이론가들은 이러한 완화적 금융환경의 복귀가 마치 2000년대 중반 버블 후반기와 유사하다고 경고합니다.. 즉, 유동성 공급이 재개되면 남은 1~2년 동안 마지막 투기 열풍이 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최근 미국 부동산 시장은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물 부족 등의 영향으로 2023년 하반기부터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고, 주식시장도 기술주 중심으로 20232024년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자산시장 랠리는 경기 펀더멘털(둔화되는 제조업 경기 등)과 괴리가 커 거품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기설 지지자들은 “현재의 자산 가격 상승은 펀더멘털이 아닌 과잉 유동성과 기대에 의해 움직이는 마지막 국면”이라며 경각심을 촉구합니다...
거시경제 지표들도 일부 위험 신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의 장단기 역전은 2022년부터 심화되어 1980년대 이후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데, 통상 수익률곡선 역전은 12년 내 경기침체를 예고해온 지표입니다. 실제 2023년에는 미국 제조업 지수가 수축국면에 들어섰고, 소비 증가율도 둔화되는 등 경기 선행지표들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다만 노동시장 호조와 서비스업의 버팀목으로 아직 본격 침체는 지연되고 있어, 침체 시계가 2024~2025년으로 밀린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2024년 말2025년 초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일시적으로 경기가 부양될 수 있으나, 주기설에 따르면 이는 *“폭풍 전 마지막 붕괴 직전의 평온”*일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옵니다...
주류 경제분석가들 중에서도 2026년 경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을 지낸 스티븐 로치(Stephen Roach) 예일대 교수는 “2026년에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험이 찾아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2024년 미 대선에서 보호무역 성향의 행정부(예: 트럼프 2기)가 들어설 가능성을 상정하며, 대규모 관세 부과 등으로 2025~2026년에 글로벌 경기충격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로치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만약 미국이 중국 등 주요 교역국에 보편적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세계교역 위축과 보복관세의 도미노 효과로 2026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2.5% 수준까지 떨어져 사실상 글로벌 침체 문턱에 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그는 “이미 자산시장에 거품이 커지면서 취약성이 높아지고 있고, 중앙은행들의 인플레이션 억제 노력에도 물가가 예상보다 끈질기게 높게 남을 가능성”을 지목하며, 2026년경 복합위기를 우려했습니다 한마디로 무역충격 + 자산버블 붕괴 + 인플레이션 지속이라는 삼중고가 2026년에 동시에 현실화될 위험을 제기한 것입니다. 이러한 경고는 주기 이론가들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합니다. 주기설도 2020년대 중반 시나리오로 고금리 속 자산버블 붕괴와 정책 딜레마를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2023년 미국에서는 고금리 여파로 실리콘밸리은행(SVB)과 퍼스트리퍼블릭은행 등이 파산하는 등 금융 취약성이 드러났고, 부동산 경기 둔화로 일부 지역은행과 부동산대출 부문의 위험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지적 위기의 징후는 거시경제 여건 악화 시 연쇄적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기에, 전문가들은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2026년 전후의 경제위기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지표와 근거는 (1) 역사적 사이클 주기의 도래 시점, (2) 부동산·자산시장 과열과 부채 누증, (3) 통화정책 전환에 따른 최종적 거품 위험, (4) 지정학·정책 리스크(무역갈등, 인플레이션 재발), (5) 일부 금융부문의 선행적 불안 신호 등으로 요약됩니다. 물론 이러한 요인들이 반드시 2026년에 한꺼번에 터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나 여러 위험인자가 시차를 두고 누적된 상태라는 점에서, 주기설이 경고하는 **“마지막 한 계단”**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미국 vs 한국: 공통 위험과 차별화된 위험 요인
미국과 한국 모두 2026년 잠재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그 양상과 위험 요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공통적인 위험으로는 두 나라 모두 지난 10여년간 부채 수준이 크게 상승했다는 점입니다. 미국은 2020년대 들어 정부부채가 GDP 대비 120%를 넘어서는 등 재정여력이 약화되고 있고, 기업부채와 가계부채도 저금리 시기에 크게 늘어났습니다. 한국 역시 가계부채가 GDP 대비 100%를 넘길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이며, 정부부채와 기업부채도 빠른 속도로 증가해왔습니다. 이러한 부채 누증 상태에서 20222023년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부채 상환부담을 가중시켜 잠재적 디폴트 위험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의 이자부담률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도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기업들의 이자비용이 급증했습니다. 따라서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미국과 한국 모두 내수 위축과 신용경색을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비관적 시나리오에서 가정하듯, 2025년 이후에도 물가가 잡히지 않아 미국 금리가 6~7%까지 재인상된다면, 2026~2027년경 선진국·신흥국 모두 침체에 빠지는 글로벌 리세션이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미국은 소비·투자가 위축되어 23년간 0~1%대 저성장에 머물고, 한국 역시 수출 급감과 부채 디플레이션 충격으로 성장률 0%대 정체를 보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두 나라 모두 실업률 상승 등의 충격을 피하기 어려워, 미국은 실업률이 현재 3%대에서 7~8%까지 뛰고 한국도 4%대 후반에서 그 이상으로 급등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이러한 공통 위험 요인은 글로벌 차원의 동조화 현상 때문입니다. 미국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면 한국을 포함한 대다수 나라가 동반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한국의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미국에도 간접 영향이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과 한국의 차별적 위험요인도 분명합니다. 첫째,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서 “돈을 찍어낼 수 있는” 최후 수단이 있지만, 한국은 외환 사정이 취약해질 경우 방어 여력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예컨대 1997년 외환위기 때 한국은 달러 유동성 부족으로 IMF 구제금융을 받았지만, 미국은 2008년 위기 때 연준의 대규모 달러 공급을 통해 자국 금융시스템을 안정시킨 바 있습니다. 2026년경 위기가 닥친다면 미국은 국채 발행과 Fed의 유동성 공급 등으로 버틸 수 있지만, 한국은 국가부채가 낮은 편이라 해도 대외 신인도 유지와 자본유출 방지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한국은 1997년 이후 외환보유액을 대폭 늘리고 부채구조를 개선하여, 단기외채 비중이 낮고 통화스와프망이 갖춰져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글로벌 금융충격 시 원화 가치 급락과 해외자금 이탈 위험은 늘 존재하므로, 미국보다 위기 대응에 제약이 있다는 점은 구조적 차이입니다.
둘째, 부동산 시장의 구조와 위험 요인이 다릅니다. 미국 주택시장은 30년 고정금리 대출의 비중이 높아, 금리상승에도 기존 주택보유자의 이자부담이 즉각 늘어나지 않는 구조입니다. 반면 한국은 변동금리 또는 단기 고정후 변동 전환 대출이 대부분이라, 금리 상승의 충격이 가계에 직접 전달됩니다. 2022-2023년 한국에서 가계부채 위험이 급부상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주택가격 측면에서도 미국은 2008년 거품 붕괴 후 지역별 차별화가 심해졌고 2020년대에도 일부 과열지역을 제외하면 완만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반면 한국은 20202021년에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폭등하는 등 전국적 부동산 거품을 경험했고, 2022-2023년에 서울을 비롯한 주요 지역 집값이 15~20% 조정받았으나 여전히 장기 평균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한국 부동산 시장의 거품 잔존은 향후 금리인하나 정책 부양 시 재부상하여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키울 우려가 있습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부동산 PF대출 등 부동산 익스포저가 은행권 및 비은행권 자산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부동산 가격 급락 시 금융권 연쇄부실로 이어질 위험이 미국보다 큽니다. 한국은행 시나리오에 따르면 비관적 경우 2025년 이후 한국 집값이 추가 -10% 이상 하락할 수 있으며, 이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금융권으로 전이되고, 실업 증가로 주택시장 수요 기반이 약화되어 부동산 장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셋째, 산업구조 및 대외의존도의 차이입니다. 미국 경제는 내수 소비 비중이 높고 에너지 등 자급률이 높은 편입니다. 이에 비해 한국은 GDP 대비 수출입 비중이 매우 높아 (무역의존도 약 60% 수준),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합니다. 2026년 위기설과 관련하여 미국은 부분적으로 **자국 정책 실패(부채 문제, 통화정책 오류 등)**에 따른 내부 요인이 위험의 촉발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외부 충격에 취약합니다. 실제 로치 교수도 “한국은 미국의 10대 수입대상국 중 하나로, 보호무역 충격 발생 시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나라”라고 지목했습니다. 2026년에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면,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는 미국보다 훨씬 큰 성장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하나, 한국은 인구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가속화되어 잠재성장률이 이미 2% 내외로 떨어진 상황이라, 위기 후 회복탄력성이 낮을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도 베이비부머 은퇴와 저출산 영향이 있지만 이민 등의 보완요인이 있고, 기술혁신 투자가 활발해 생산성 둔화가 상대적으로 덜할 전망입니다. 한국은 반면 신성장산업 육성과 구조개혁이 지연될 경우 장기침체(L형 침체)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넷째, 정책 대응 능력의 차이입니다. 미국 연준은 세계 기축통화의 발행은행으로서 위기시 무제한 유동성 공급과 다양한 비상수단(예: 긴급대출, 국채매입 등)을 동원할 수 있지만, 한국은행은 통화스왑 등 외부 지원 없이는 글로벌 달러 유동성 위기에 대응하기 제한됩니다. 또한 미국 정부는 달러채무로부터 자유로운 반면, 한국 정부는 대외채무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재정정책 측면에서도 미국은 필요시 재정적자 확대가 용인되지만, 한국은 국채금리 상승과 국가신용도 제약을 더 민감하게 받아야 합니다. 결국 동일한 위기가 발생해도 미국은 공격적인 부양책으로 빠른 회복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고, 한국은 안정 위주의 대응을 하면서 회복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는 2008년 이후 QE(양적완화)로 미국 경제가 비교적 빨리 턴어라운드한 반면, 한국은 수출 회복에 의존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던 전례에서도 드러납니다.
요약하면, 공통 리스크로서는 부채누증과 자산버블, 글로벌 통화긴축의 여파, 그리고 미·중 갈등 등의 지정학 위험이 미국과 한국 모두에 2026년 전후 위기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차별적 리스크로서는 미국은 자국 정책(특히 통화·재정) 실패와 금융시스템 내부 위험에 주로 노출되어 있고, 한국은 대외 충격과 국내 부동산·가계부채 구조의 취약성에 더 크게 영향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6년 위기설을 대비함에 있어 미국은 금융안정과 재정지속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한국은 외환방어와 부채리스크 관리에 방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궁극적으로 양국 모두 정책 당국의 선제 대응과 구조적 개혁 노력이 있다면 최악의 사이클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지만, 역사적 주기가 경고하는 바를 간과할 경우 **“예고된 위기”**를 되풀이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참고자료: 18년 주기설과 관련된 학술 연구, 주기 이론가들의 저술 및 인터뷰,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의 거시전망 보고서, 전문 경제매체 기사 등을 종합하여 분석. 주요 출처는 하단에 표시했습니다.
Sources:
- Foldvary, F. (2012). The Depression of 2026. Progress.orgprogress.orgprogress.org
- Foldvary, F. (2021). How To Prevent the Boom and Bust Cycle. Progress.orgprogress.orgprogress.org
- Patel, A. (2021). Prepare for a five-year property and stockmarket boom. MoneyWeekmoneyweek.commoneyweek.com
- Patel, A. (2021). Same cycle, new twist. MoneyWeekmoneyweek.commoneyweek.com (부동산 사이클 메커니즘 설명)
- Deniscraciun (2025). Evidence Supporting a Potential 2026 Land-Driven Economic Crisis. Mediummedium.commedium.com
- Cashmore, C. (2023). Predicting a land-based led recession…. Livewire Marketslivewiremarkets.comlivewiremarkets.com
- Ray Islam, R. (2025). The K-Wave: 200 Years of Economic Rhythms. Mediumrayislam.medium.comrayislam.medium.com
- 최승진 (2025). “트럼프발 관세 재앙, 2026년이 진짜 고비”. 매일경제mk.co.krmk.co.kr
- KIF 거시경제연구 (2023). 2005~2025 세계경제 변화와 2030 전망 (시나리오 분석)